자동차 부품 교육20 프레스 금형의 원리 및 제작 재료의 소성(Plasticty), 전연성, 유동성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로 철 및 비철금속재료를 가공 성형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금형이다. 프레스 기계를 사용하여 소재에 힘을 가하면서 여러 가지 절단이나 성형, 변형시키는 가공법이다. ▶ 금형 작동 원리 펀치와 다이로 구성된 금형 상하형을 프레스 기계에 설치하여 프레스의 램의 상하 이송으로 동력을 얻어 재료를 절단, 벤딩 등 여러 형태로 성형하는 원리로써 제품의 정밀도는 0.005mm까지 가능하며, 프레스 SPM은 금형의 피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Max.1400/min 정도까지 가능하다. SPM : 프레스가 1분당 상하 작동하여 움직인 횟수를 말한다. ▶ 금형의 적용분야 정밀제품으로 TV 브라운관에 사용되는 전자총 부품, 반도체 칩의 프레임(Frame)으.. 2022. 1. 8. 금형의 정의 (Die&mold) 및 특징 금형이란 정해진 규격의 제품을 동일한 품질 수준으로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만든 틀을 말한다. 이러한 금형의 역할로 인해 생산된 제품은 정밀도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생산성을 증가시켜 제품의 코스트 다운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또한 제품 개발을 뒷받침하는 핵심기술로서 상품에 대한 국가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다. ▶ 국내 금형공업의 발달과정 우리나라의 금형공업은 외국에 비해 늦게 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미국, 독일 등 구미지역과 우리와 가까운 일본은 1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대량생산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금형산업이 서서히 발전하여, 2차 세계대전 이후에 급속히 성장하였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1940년경 수작업 위주로 금형을 만들기 시작하였고, 1970년대 중반부터 전.. 2022. 1. 8. 설비 관리 일반 이론 ▣ 설비 관리 ▶ 개념 및 정의 기업이 무한경쟁의 시대에서 살아남고,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저비용·고효율의 전략을 선택해야 한다. 과거에는 원가절감과 매출 증대에 역점을 두었지만 최근에는 기술혁신에 따라 생산방식이나 설비의 발전으로 설비관리(設備管理, plant engineering)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그 중요성은 기업경영에 있어서 점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설비는 대규모 투자를 요구하는 것이므로 합리적인 설비의 도입이나 보전이 기업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 설비보전을 위하여 체계적인 설비계획(facilities planning)이 필요하며, 설비계획의 과오에 의한 손실은 기업의 성패를 좌우한다. 설비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기계, 기구, 토지, 건물 등을 말하며, 자본을 .. 2022. 1. 7.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