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 FMEA3

설계 FMEA (D-FMEA) (3) ▣ 설계 FMEA 실행 ▶ 발생도(Occurrence) • 정의: 파악된 원인/ 메커니즘 이발 생활 가능성 • 발생도(0) 등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설계변경 • 잠재적 고장원인/ 메커니즘의 발생 가능성을 1~10 단위로 추정 • 발생도(0) 등급 결정 시 고려사항 - 유사부품/ 서브 시스템의 서비스 이력/ 필드 사례 - 구성품이 이관 부품인가, 새로운 부품인가? - 구성품이나 서스 시스템에서 중요한 변경이 있었는가? - 구성품이 지난번 수준의 구성품과 판이하게 다른가? - 구성품이 완전히 새로운가? - 구성품이 적용이 변경되었나? - 환경의 변화는 무엇인가? - 기대되는 발생률을 추정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이 이용되었는가? • 발생도(0) 등급은 순위 부여에만 관련되고 실제의 발생 가능성을 .. 2022. 1. 3.
설계 FMEA (D-FMEA) (2) ▣ 설계 FMEA 실행 ▶ 설계 FMEA 항목의 작성 1) FMEA 번호 문서 추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FMEA문서번호를 기입 2) 시스템, 서브시스템 또는 구성품과 이름의 번호 분석의 적 당한 수준을 나타내고 분석되어야 할 시스템, 서브시스템 또는 구성품의 이름과 번호를 기입 3) 설계 책임 설계 책임 부서명 기입. 알고 있다면 공급자 이름 기입 4) 작성자 FMEA 작성 책임자 이름, 전화번호, 회사명 기입 5) 모델 분석된 설계에 의해 이용되거나 영향을 받는 모델 연도와 제품명을 기입 6) 완료 예정일 계획된 양산도면 배포일을 초과하지 않는 초기의 FMEA 완료 예정일을 기입 7) FMEA 최초 작성일/ 최근 개정일 최초의 FMEA작성일자와 최근 개정 일자를 기입 8) 핵심팀 팀의 책임 있는 인.. 2022. 1. 3.
설계 FMEA (D-FMEA) (1) ▶ 설계 FMEA 개요 FMEA는 설계된 시스템의 전품목에 대하여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고장 Mode를 가정하고 이 고장이 상위 구성품, Subsystem, 최종적으로 System의 가능 설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신뢰성 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그 대책을 수립함으로써 고장요인을 사전에 방지 ▶ 시스템 구성 - 시스템 : 요구되는 임무 달성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가진 복잡한 제품 - 서브시스템 : 시스템의 임무를 분담해서 달성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시스템의 일부 - 블록 : 여러 개의 조립품으로 결합되어 독자적 범용적 기능 - 조립품 : 두 개 이상의 부품으로 구성된 조립품 - 부품 : 더 이상 분해 불가능한 단위 부품 ▶ 설계 FMEA의 이점 및 활용 - 부품개발의 초기 Pre-Har.. 2021.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