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생도2

공정 FMEA (P-FMEA) (2) ▣ 공정 FMEA 실행 ▶ 심각도 1) 심각도 평가 기준 영향 기준 : 영향의 심각도 등급 경고없는 위험 설비 또는 조립작업자를 위험하게 할 수 있다. 잠재적 고장형태가 생명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치거나 정부법규에 대해 불일치 사항을 포함할 때 매우 높은심각도 등급이 부여된다. 고장은 사전 경고없이 발생될 것이다. 10 경고있는 위험 설비 또는 조립작업자를 위험하게 할 수 있다. 잠재적 고장형태가 안전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치거나 정부법규에 대해 불일치 사항을 포함할 때 매우 높은 심각도 등급이 부여된다. 고장은 사전 경고 후 발생될 것이다. 9 매우 높음 생산라인에 중대한 혼란을 가져온다. 제품의 100%가 폐기될 수 있다. 제품 / 부품이 작동하지 않고 주요기능이 손실된다. 고객은 불안해 한다. 8 높음.. 2022. 1. 4.
설계 FMEA (D-FMEA) (3) ▣ 설계 FMEA 실행 ▶ 발생도(Occurrence) • 정의: 파악된 원인/ 메커니즘 이발 생활 가능성 • 발생도(0) 등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설계변경 • 잠재적 고장원인/ 메커니즘의 발생 가능성을 1~10 단위로 추정 • 발생도(0) 등급 결정 시 고려사항 - 유사부품/ 서브 시스템의 서비스 이력/ 필드 사례 - 구성품이 이관 부품인가, 새로운 부품인가? - 구성품이나 서스 시스템에서 중요한 변경이 있었는가? - 구성품이 지난번 수준의 구성품과 판이하게 다른가? - 구성품이 완전히 새로운가? - 구성품이 적용이 변경되었나? - 환경의 변화는 무엇인가? - 기대되는 발생률을 추정하기 위해 기술적 분석이 이용되었는가? • 발생도(0) 등급은 순위 부여에만 관련되고 실제의 발생 가능성을 .. 2022.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