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

코어 및 캐비티 설계를 위해 필요한 사전 검토 항목 코어 및 캐비티 구조를 결정하고 외곽치수를 포함하여 필요상세치수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항목이 기본적으로 우선 검토 되어야 한다. ▶ 제품도의 검토 금형설계를 하기위해 필요한 전체적인 요소설계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항목을 검토한다. 1. 형상 : 이해하기가 곤란한 형상이나 누락된 부분은 없는가. 또 그 형상이 금형에의해 만들어질 수가 있는가? 2. 치수정도 : 각 부분의 공차는 누락되어 있지 않는가. 또 정도가 너무 엄격하여 현재의 금형가공정도, 성형기술로 양산이 가능한가? 3. 강도 : 모서리는 지나치게 예리하지 않고 적당한 R로 되어 있는가? 두께가 지나치게 얇거나 두껍지는 않는가? 4. 표면규격 : 성형품의 표면광택 정도는 어느 정도인가. 부식의 규격, 패턴은 정해져 있는가. 도장, 핫트스탬.. 2022. 1. 20.
사출성형에서 유동 시스템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는 사출성형에서 유동 주입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서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런너 및 게이트의 형태 및 치수는 성형품의 외관, 물성, 치수 정밀도, 성형 사이클 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용융된 사출 원재료는 사출기의 노즐로부터 사출 되어 금형의 스프루를 거쳐 스프루에서 분기된 런너를 지나 게이트를 통과하여 제품 형상인 캐비티에 충진 된다. 충진 되는 과정의 상태를 살펴보면 사출 용액이 스프루, 런너 및 게이트를 통과하는 동안 마찰에 의하여 압력이 저하되면서 금형의 캐비티에 충진 된다. 이와 동시에 용융된 수지는 런너 및 제한된 좁은 게이트를 통과하면서 마찰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일시적으로 수지 온도가 상승되어 캐비티에 주입된다. 이 런너와 게이트는 성형성, 내부 변형,.. 2022. 1. 17.
생산시스템의 기초 개념 ▣ '생산시스템'의 의미 생산과 시스템의 개념과 관점을 기초로 하여, '생산시스템'을 다음의 세 가지 관점, 즉 구조적 측면, 변화적 측면 및 절차적 측면에서 정의한다. ▶ 생산시스템의 역사적 배경 역사적으로 '생산시스템 (manufacturing system)'이라는 용어는 1815년에 사용되었는데, 공상적 사회주의자가 '공장 시스템 (factoty system)'의 의미로 이 용어를 사용했다 (Owen, 1815). 생산시스템은 역시 약 200년 전 영국의 산업혁명 동안에 창조된 발명을 의미하기도 한다 (Going, 1911). 경영과 생산에 있어서 시스템적 관점은 20세기 초에 Talyor에 의해서 '과학적 경영'으로서 강조되었다 (1911). ▶ 오늘날의 생산시스템 오늘날, 생산시스템이라는 용어는.. 2022. 1. 17.